#sangs/#자기계발

[노자] 제 2강 - 정답만 찾을 것인가? 문제를 해결할 것인가?

sangstory 2023. 11. 23. 18:21

 

 

제 2강 - 정답만 찾을 것인가? 문제를 해결할 것인가?

 

 

노자의 이야기를 담을 내용이지만

노자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노자의 이야기보다는

그 당시 상황과 전반적인 과거 사상들에 대해서 적어봅니다!

 

바쁘신 분들은 총정리만 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1. 창의성과 인문학의 본질

창의성의 정의와 중요성

 

창의적이란? 인간이 그리는 무늬의 방향을 앞서 가는 일

생과 사의 경계에서 고도의 예민함을 유지하기 때문에 감각이 살아있다.

 

 

인문학의 역할과 중심기능

 

인문학은 인간이 움직이는 방향을 알려 준다.

국가의 발전 단계에 따라 인문학의 역할이 변화한다.

  • 초기 단계: 법학, 정치학
  • 발전 단계: 경제학, 경영학, 사회학, 신문방송학
  • 선진 단계: 철학, 심리학
  • 제국 단계: 고고학, 인류학

고고학, 인류학이 발달한 나라들은 인간을 하나의 틀로 해석할 필요를 느끼고 제국을 꿈꿨다.

 

 

집단적 틀 안에 있는 사람 VS 자기의 주체성을 표현하는 사람

 

 

르네상스와 인문학적 통찰

 

르네상스: 신으로부터 독립하겠다는 인간의 염원을 담은 사상운동

 

키케로

"인문학은 인간의 정신을 고귀하고 완전하게 해주는 학문이며 인간에게 가치있는 유일한 연구다."

 

앨런 벌록

"인문주의, 인간적임, 인본주의 이런 말들을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내용으로 정의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인간의 변화와 인문학적 접근

 

인간은 변한다.

세계가 달라지기 때문에 인간이 해결해야 될 내용과 방법이 달라진다.

그 과정 속에서 인간 삶의 의미, 존재의의 지평이 달라진다.

 

인간은 다른 세계와 관계하면서 다른 시각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움직인다.

 

 

인간이 흐름 속에 존재하는 것

'인문'

 

 

 

문학, 사학, 철학의 관점에서 본 인문학

 

문학: 인간이 그리는 무늬를 언어의 수사적 기법을 사용하고 감동을 자극하는 형식으로 알게 해주려는 지적 활동

사학: 인간이 그리는 무늬를 사건들의 시간적 계기들을 통해서 알게 해주려는 지적 활동

철학: 인간이 그리는 무늬를 명중한 범주들의 관계로 알게 해주려는 지적 활동

 

이라고 정해지는 순간 모방의 대상으로 정지된다.

학문은 학이 어떤활동 속에서 이루어져 있는가를 짐작하는 것이다.

 

 


 

 

2. 인문학적 통찰과 리더십

인문학적 통찰과 창의성의 결여

 

왜 우리는 인문적 통찰, 창의성, 상상력이 부족한가?

인문적 활동이 아닌 학을 중요시했기 때문이다.

인문적 통찰, 활동은 가치를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질문해 보는 것

 

Time지 "Asians Can't Think"

아시아 사람들은 생각할 줄 모른다.

 

정답만 찾을 것인가? 문제를 해결할 것인가?

 

왜 생각할 수 없는가?

강한 신념, 이념, 가치관, 지적체계 때문이다.

 

 

인문학적 리더십: 경계에서의 통찰

 

경계에 있다는 것은 신념과 이념에서 벗어난 자유로운 상태

통찰을 하는 사람! 리더는 경계에 있는 사람이다.

 

경계에 있을 때는 두렵다.

경계에 있을 때는 모호하다.

경계에 있을 때는 불안하다.

 

불안과 모호함은 분명히 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견디고 받아들여야 하는 것이다.

갈등, 협소함, 제한은 명료함에 있다.

 

 

사마천: 인문학적 탐구의 아이콘

 

사마천: 전한시대의 역사가 <<사기>>의 저자

흉노에 투항한 장군 '이릉'을 변호하다가 한무제에 의해 궁형을 당함

 

보임소경서: 사마천이 친구 임안에게 쓴 편지

 

구천인지제 - 자연과 인간 사이의 관계를 연구하고

통고금지변 - 과거와 현재에 일어나는 변화의 맥을 관통해서

성일가지언 - 독자적인 학문 체계를 세웠다.

 

노자는 인간과 세계 사이의 관계를 어떻게 처리했는가?

 

 


 

 

3. 역사와 문화에서의 인문학적 발전

역사적 관점에서 본 인문학

 

베이징원인: B.C 50만 년 전 중국 베이징일대에서 살았던 인류

 

고기를 익혀 먹기 시작하면서 소화하는 데 쓰이는 에너지를 줄였다.

남는 에너지가 인간의 뇌 발달에 영향을 끼쳤다.

동물성 단백질 섭취가 인간의 뇌 발달에 도움

두개골과 근육이 얇아져서 인간의 뇌가 커질 수 있는 공간 확보

말을 할 수 있게 된 인간

 

지도자는 있어도 지배자는 없는 사회

남녀의 구별은 있지만 차별은 없는 사회

중국 신석기 시대 전기까지 앙소문화

[정보] 중국의 앙소문화 링크

신석기 농업혁명 -> 농사에 필요한 남성의 근력이 많이 투입

신석기 농업혁명 때문에 잉여생산물 발생

담을 곡식이 많았다.

 

남성이 주도권을 잡기 시작하면서 '소유'의 개념 형성

재산을 다른 사람이 아닌 친자식에게 상속하고 싶은 욕구 -> 일부일처제 성립

 

혈연이 중요해졌다.

동양은 혈연을 인간과 세계를 해석하는 코드로 사용했다.

 

불 - 기하학적 도형 - 혈연

 

인간의 능력이 확대되고 있다.

인간의 시야가 커지고 깊어지고 있다.

 

 

문화적 관점에서 본 인문학

 

부권 장자

천자-대종

제후-소종

 

신석기 시대 후기에 혈연을 매개로 인간을 해석

 

중국의 고대 3대 왕조

하, 은, 주

중국 고대 3대 왕

요, 순, 우

 

요, 순 임금은 왕권을 신하에게 물려 줌 (선양)

우 임금은 신하가 아닌 왕권을 자식에게 물려줌

왕권의 전승은 장자 상속 시스템으로 확고히 자리 잡았다.

 

<<사기, 하본기>>

계는 우리 군주 우임금의 아드님이시다.

 

요 임금과 순 임금 때까지는 자식보다 신하가 가진 권위가 더 높았다.

우 임금 때는 신하들보다 우임금의 아들 '계'의 권위가 더 높았다.

장자의 지위가 확고해지는 사상 속으로 사회가 진입했다.

 

 

제사법이 생길 때 가장 중요한 제사는 시조 제사였다.

세계를 나를 중심으로 보기 시작했다.

혈연이라는 이야기를 하는 것 = 세계, 철학, 문헌을 인문적으로 보는 것

 

부권 상속 시스템이 튼튼해졌다. -> 남성권이 더 강해졌다.

 

은나라 중국 고대 왕조, 상나라 라고도 함

19대 왕 반경이 은허로 천도

 

 

청나라 말기 1899년

말라리아에 걸린 국자감 좨주 왕의영

-> 제자 유악이 당시 말라리아에 특효라고 알려진 용골을 구입

 

은허 지방에서 온 용골 표면에 새겨진 글자 모양을 발견

금석문(금속이나 돌에 새긴 글씨 또는 그림)

 

갑골문 속에 통치자가 통치행위 이전에 점을 친 내용을 기록

갑골문 - 거북이의 등껍질이나 짐승의 견갑골에 새긴 상형문자한자의 원형

 

은나라 사람들은 모든 일을 하느님(상제)이 결정한다고 생각했다.

은나라 사람들은 하느님을 만들어 냈다.

 

불 - 기하학적 도형 - 혈연 - 하느님(상제)

 

세계를 해석하는 코드가 혈연에서 하느님으로 인간의 지위 상승

 

인간이 보편적인 근거와 기준을 갖고 세계와의 관계 속에서 자신을 이해하고 해석

 

인간의 혈연이라는 제한된 경험 시스템으로 자기를 해석하다가

신이라는 보편적 절대자를 매개로 자기를 해석하게 됐다.

 

인류의 역사는 인간 지위 상승의 역사다.

 

인간의 지위가 집단적으로 함께 상승하다가

인간의 지위가 개인이 상승하게 된다.

 -> 현대와 비슷한 점이 아닐까..?

 

하느님에게 가장 중요한 것 일관성, 불변성

 

덕의 출현

 

은나라 멸망 BC 1100년 주나라 무왕

은나라가 멸망한 이유: 주나라는 건국의 정당성이 필요

 

천명이 달라진 것을 설명하기 위해 나온 개념

'덕'

 

은나라 사람들은 인간으로서 가져야 할 덕을 상실했다.

그래서 천명이 떠났다.

 

그런데 주나라 사람들은 덕을 가지고 있어서 천명이 주나라로 왔다.

-> 천명이 달라질 수 있는 시대로 진입

 

무엇 때문에 천명은 달라지는가? 인간, 덕

 

인간이 천명을 바꿀 수 있는 존재로 등장

인간이 천명을 움직일 수도 있다.

 

천명이 움직이는 데도 합리적인 최소한의 기준을 갖게 됐다.

 

인간이 역사, 문화의 무대에서 책임감 있는 존재로 등장

인간은 천명이 눈여겨봐야 될 존재로 지위 상승

 

 

인문학적 통찰의 중요성

 

인간이 책임감을 발휘하는 활동

= 문화

= 무늬

 

 

周監於二代,郁郁乎文哉,吾從周. -논어-

주나라는 하나라와 은나라를 거울삼아 참고하였는데

인문적 특색이 찬란하게 빛났다. 나는 주나라를 따를 것이다.

 

불 - 기하학적 도형 - 혈연 - 하느님(상제) - 덕

 

자기 삶의 의미를 어떻게 확보했는가?

인문학적 통찰을 강화시키는 힘!!!

 

 


 

 

총정리

창의성의 본질

인간이 창출하는 다양한 무늬와 형태의 탐구

이는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고도의 예민함을 유지하며 감각을 살리는 것

 

인문학의 역할

사회 발전의 각 단계에서 인문학의 중요성 변화

각 단계별로 법학, 정치학, 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가 중심 역할을 함

이는 국가 발전 단계에 따라 인문학의 중요성이 변화한다는 것


르네상스와 인문학적 통찰

르네상스 신으로부터 독립하려는 인간의 열망을 담은 사상운동

인문학적 통찰의 중요한 부분

이 시기의 사상가들은 인문학이 인간의 정신을 고양시키고 완전하게 하는 학문이라고 여김

인간의 변화와 인문학적 접근

인간은 지속적으로 변화하며, 이는 인간 삶의 의미와 존재의 의의에 영향을 미침

인간은 다른 세계와의 관계를 통해 새로운 시각을 공유하고,

이러한 흐름 속에서 인문학적 접근이 중요해짐


문학, 사학, 철학의 관점

학문은 인간의 창조적 무늬를 이해하는 데 도움

인간의 창조적 무늬를 해석


인문학적 통찰과 창의성의 결여

창의성과 상상력의 부족은 인문학적 활동보다는 학문적 활동에 더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발생

인문학적 통찰은 질문을 던지는 것에 중점을 둠

인문학적 리더십

경계에서의 통찰은 신념과 이념에서 벗어난 자유로운 상태에서 발생

리더는 이러한 경계에 서 있으며,

이는 때때로 불안과 모호함을 수반함

역사적 관점에서 본 인문학

인간의 역사, 특히 중국의 고대사를 통해 인문학적 발전을 살펴봄

 

 

 

 

 

불 - 기하학적 도형 - 혈연 - 하느님(상제) - 덕
세계를 해석하는 코드가 바뀜

인류의 역사는 인간 지위 상승의 역사다.


자기 삶의 의미를 어떻게 확보했는가?
인문학적 통찰을 강화시키는 힘!!!


인문적 통찰과 활동은 질문해 보는 것!

정답만 찾을 것인가? 문제를 해결할 것인가?